산업부, 5대 유망 신산업 기업 대상 산업기술인력 실태조사 발표

자료 제공: 산업통상자원부
자료 제공: 산업통상자원부

 

차세대 반도체와 신금속소재, 차세대 세라믹소재, 첨단 화학소재, 하이테크 섬유소재 등 이른바 5대 유망 신산업 분야에서 오는 2029년이면 무려 15만5000명의 기술인력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금도 이들 신산업 분야에서는 전문 인력이 부족한 실정이어서 국가 차원의 인력 양성 방안이 시급히 요구된다는 지적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5대 유망 신산업 분야 사업체를 대상으로 산업기술인력 실태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같이 조사됐다고 지난 4일 밝혔다. 산업기술인력은 고졸 이상 학력자로 기업에서 연구개발, 기술직, 생산·정보통신 관리자, 임원으로 근무하는 인력을 의미한다.

조사에 따르면 지난 2019년말 기준 5대 신산업 분야 산업기술인력은 11만1000명이지만, 앞으로 10년간 연평균 3.4% 증가해 오는 2029년에는 15만5000명까지 확대될 것으로 전망됐다. 2019년말 기준 부족 인력은 2845명, 부족률은 2.5%에 달했다. 특히 석·박사급 부족률은 4.2%로 높았다. 산업 가운데는 차세대 세라믹 소재 분야 부족률이 4.5%로 가장 인력난이 심했다.

5대 신산업 분야별로 보면 차세대 반도체 산업기술인력은 2019년말 현재 3만6000명에서 2029년에는 5만1000명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됐다. 2019년말 기준 인력 부족률은 2.1%(766명)다. 이 기간 인력 증가 요인으로는 기업 성장에 따른 인력 증가(6000명), 신규 참여 기업 증가(2000명), 산업간 융합 등 산업 범위 확장(1000명) 등이 꼽혔다.

신금속소재 기술인력은 저탄소 전환 가속화와 국내외 환경 규제 대응 수요 등으로 이 기간 2만6000명에서 2만9000명으로 늘어날 전망이다. 2019년말 기준 인력 부족률은 2.4%(652명)로 집계됐다. 특히 연구개발 및 환경·안전 관리 전문 인력의 증가율이 높을 것으로 추정된다.

차세대 세라믹소재의 경우 2019년말 현재 산업기술인력은 7000명이며 부족률은 4.5%(364명)로 높은 수준이다. 오는 2029년에는 1만1000명까지 인력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공정 설계, 연구 개발 인력 공급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세부적으로는 광전자, 이차전지 적용 소재 등 최신 기술 개발을 위한 연구와 평가 인력 증가율이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첨단화학 분야에서는 이 기간 2만5000명에서 3만9000명으로 확대될 전망이다. 2019년말 현재 인력 부족률은 부족률은 2.7%(714명)로 나타났다. 이 산업은 전기전자, 수송기기 등에 적용되는 고부가가치 소재 개발을 위해 전문가형 인력을 선호하는 추세인 것으로 분석됐다. 또 의약품·미용용품 및 주력 산업과 연계된 고기능성 화학 소재에 대한 연구 개발 수요가 꾸준할 것으로 전망된다.

항바이러스·방역 등 메디컬·안전 관련한 섬유소재 수요 증가로 하이테크 섬유소재 분야에서도 인력이 지난 2019년말 현재 1만5000명에서 2029년 2만3000명으로 늘어날 것으로 조사됐다. 2019년말 인력 부족률은 2.3%(350명)다. 주로 기술 개발과 성능 평가 인력 공급이 시급하다는 분석이다.

산업부는 이번 조사 결과를 토대로 5개 분야에 대한 인력 양성 사업에 더 힘을 기울이기로 했다. 우선 석·박사급 인력 양성 사업을 올해부터 확대 시행키로 하고, 9개 관련 사업에 234억4000만원의 예산을 투입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산업부는 주요 업종별 인력 수급 마련을 논의하는 ‘산업별 인적자원 개발협의체’를 통해 필요 인력을 점검한 뒤, 교육부와 해당 분야 대학원 정원 조정 등을 협의하기로 했다. 대학에 학과를 개설하거나, 정원을 늘리는 데 필요한 자금 일부를 산업부가 지원하는 방식이다.

올해는 차세대 시스템반도체 설계, 기능성 세라믹소재, 탄소복합재 분야 교육훈련 신설 분야를 중점 지원하기로 했다. 이어 내년에는 업계 의견을 바탕으로 올해와 별도 예산을 활용해 차세대 반도체 품질관리, 스마트 융합금형, 친환경 그린섬유 제조 등의 분야에서 10여개 교육 프로그램을 신설할 계획이다.

산업부는 “인력 수급 불균형 해소와 산업계 인력 수요를 전달하기 위해 교육부·고용노동부 등 관계 부처와의 협업을 강화할 것”이라며 “급변하는 산업 환경을 고려해 주기적인 재조사 체계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KIPOST(키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